close_btn
로그인, 회원가입후 더 많은 혜택을 누리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닫기
조회 수 15179 추천 수 14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감도가 우수한 CCD라도 열화노이즈는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천문대에서 쓰이는
연구용 CCD에는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이 열잡음을 줄여주고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아마추
어가 쓰는 컴팩트한 냉각 CCD와는 그 외형의 크기나 구조가 많이 다르게 설계되어 있습니
다.  
우리가 쓰는 냉각 CCD들은 거의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ccd를 냉각하고 있는데, 이 전자
부품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면은 차거워 지고 다른 한 면은 뜨겁게 되는 특성이 있습니
다. 찬면을 CCD 쪽에 대고 반대부분에는 팬을 달아서 열을 식혀주는 방식이죠. CCD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실제 CCD사용에서는 상온 대비 약 25~30도 정도 냉각 성능을 나타내었습니다. (SBIG ST
시리즈)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등에 사용은 문제가 없으나 열대야 현상(25도 이상)이 있
는 여름밤에는 냉각을 해봐야 영하 섭씨 5도 이하로는 쉽게 내려가질 않습니다. 그래서
ST시리즈 CCD에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본체에 내장해서 출하하고 있습니다. 1번 사진에
서 처럼 냉각팬 좌우로 나있는 노즐에 고무 호스를 연결하고 한쪽에서 물을 넣으면 CCD
챔버를 식히고 다른 한쪽으로 나오는 구조입니다. 찬물일수록 냉각 효과가 더 뛰어나지만
너무 차가울 경우에는 대기와의 온도차이로 CCD 주변부품에 이슬이 맺혀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간단합니다. 수족관에 가서 어항에 쓰는 7~10 와트짜리 220v 물펌
프를 7000원 정도에 구입하고 철물점에서 고무호스를 4미터 정도 구입하였습니다. 냉각
에 사용될 물은 덕초현의 차가운 지하수입니다. 양동이에 물을 가득 채우고, 물펌프를 이
물속에 담근 다음 호스를 CCD에 연결하고 배출 호스를 다시 양동이에 오도록 하면 됩니
다.
실험을 해보니 이날은 정상적인 펠티어 냉각시스템은로는 영하 5도에 머물렀는데, 이 수냉
식을 더하니 영하 10~15도 까지 내려갔습니다. 암화면을 찍어보면 영하5도 근방에서 10
도 차이는 꽤 많은 차이를 보였습니다.
  • ?
    수냉 2006.08.21 23:48
    저 펌프 어디 제품인가요?? tekkennet@naver.com 메일좀 주세요
  • ?
    이건호 2006.08.22 21:28
    동네 수족관에 가면 수중펌프를 팝니다. 1~2만원 했던 것으로 기억이 나네요.

  1. FWHM

    Date2004.08.19 By이건호 Views16570
    Read More
  2. FD 300mm 2.8L

    Date2006.01.18 By이건호 Views16361
    Read More
  3. FCT 250

    Date2009.02.23 By이건호 Views11108
    Read More
  4. EQ1200 GTO

    Date2003.10.16 Byskymate Views13212
    Read More
  5. No Image

    EM-11 manual

    Date2016.10.26 By별친구 Views5754
    Read More
  6. dSLRmate 인터벌타이머 프로그램 _ Ver 1.1

    Date2004.12.04 By이건호 Views13130
    Read More
  7. dSLRmate Ver2

    Date2005.08.04 By이건호 Views16604
    Read More
  8. CCD에 수냉식 펌프 사용

    Date2004.08.01 By이건호 Views15179
    Read More
  9. No Image

    CCD 기초

    Date2006.06.22 By이건호 Views19069
    Read More
  10. No Image

    CCD Image Processing (LRGB)

    Date2003.12.11 By이건호 Views25172
    Read More
  11. No Image

    Back Sky Meter 매뉴얼

    Date2021.05.10 By별친구 Views246
    Read More
  12. ASTROSIB 36cm RC

    Date2005.07.01 By이건호 Views10178
    Read More
  13. ASTROCROP 프로그램

    Date2005.09.30 By이건호 Views23506
    Read More
  14. ASTRO-PHYSICS GTO 마운트의 Keypad Battery 교환

    Date2022.06.30 By별친구 Views308
    Read More
  15. No Image

    astro crop - 자동크롭기능

    Date2003.09.25 Byskymate Views10034
    Read More
  16. ASTAP, the Astrometric STAcking Program

    Date2024.02.12 By별친구 Views41
    Read More
  17. AP의 오일렌즈

    Date2005.04.20 By이건호 Views10332
    Read More
  18. No Image

    AP 적도의 컨트롤러 업데이트

    Date2022.03.20 By별친구 Views264
    Read More
  19. AP QUAD-TCC 리듀서 보정거리

    Date2020.11.19 By별친구 Views292
    Read More
  20. No Image

    AP EQ1200 피어 어댑터

    Date2018.07.03 By별친구 Views3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 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