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로그인, 회원가입후 더 많은 혜택을 누리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닫기
Nebula
2004.05.12 08:38

M16 Eagle Nebula

조회 수 580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독수리성운 Eagle Nebula (Star Queen Nebula) M16 NGC 6611
Constellation:  Ser 뱀자리
Magnitude:  6.0
RA: 18h 18m 48.0s  Dec: -13°47'00"  (Epoch 2000)
Size:35.0'

11.5인치 F5.2 뉴톤 경통 (GS-Optic 12인치 돕소니언)
텔레뷰 파라코어
ST-10XME, EQ1200
LRGB: 30min, 3min, 3min, 3min
2004년 4월 24일 천문인마을
리사이즈, 중앙 크롭.


밤하늘의 보석(이준석저, 야간비행정리)

  복잡한 이온화 수소 가스덩어리인 M16은 “독수리 성운”으로 잘 알려진 대상이다. 커다란 산광성운의 중앙에는 8등급 이하의 별 60개가 25분의 크기 안에 모여 있으므로 성단과 성운의 복합체인 셈이다. 이들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약 7,000광년 떨어져 있는데 성단 자체의 나이는 갓 태어난 별들이기 때문에 200만년 정도 된다고 한다. 성단은 쌍안경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성운 자체를 밝게 만들고 있는 뜨거운 청백색의 젊은 별들로 나이는 대략 200만년 된 것으로 짐작된다. 이론적으로는 날씨가 맑은 경우 맨눈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6인치 60배에서 보면 20여개의 개개의 별들과 주위의 밝고 어두운 얼룩이 보이며, 시상이 좋으면 약간의 사각형 모양도 느낄 수 있다.
  M16에서 도전해 볼 만한 대상은 성단이 아닌 이 수소가스 덩어리로 성운 내부에서 별이 탄생하고 있다고 한다. 뜨거운 가스 덩어리인 이 성운은 표면 밝기가 낮기 때문에 (게다가 주위의 밝은 별들이 성운 관측에 방해를 끼친다) 8인치 굴절 망원경 정도에 저배율에서 관측해야 우유빛 또는 초록빛의 성운을 볼 수 있다. 대구경 망원경을 사용하면 더욱 멋진 성운의 실체를 느낄 수 있는데 갓 태어난 별들을 감싸고 있는 검은 글로블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거리는 대략 7,000광년 떨어져 있는데 유명한 천문서적 Burnham's Celestial Handbook의 저자 Robert Burnham Jr.는 “여왕별 성운”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사진상으로 보면 그가 언급한 모습과 같이 왕관을 쓰고 있는 여인의 모습 또는 독수리의 모습으로 보인다.) 이 대상은 1764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찰스 메시에가 발견하였는데 그는 “조그만 성단과 희미한 성운이 같이 모여 있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어서 그 이전의 관측가와는 달리 M16내에 있는 성운의 존재를 밝히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 TimeLaps 은하수 타임랩스 file 별친구 2015.07.21 3829
90 Etc 은하수-산불 file 이건호 2005.06.25 6324
89 Etc 은하수와 유성 1 file 별친구 2015.07.18 4209
88 Etc 은하수와 유성 file 별친구 2023.08.23 128
87 Etc 은하수중심부근-펜탁스67렌즈 file 이건호 2007.06.14 6514
86 Galaxy 은하와 성단 NGC6946 NGC6939 file 별친구 2007.07.17 7538
85 천체사진가협회 이건호님의 M8M20 file 이건호 2004.07.30 9899
84 천체사진가협회 이건호님의 말머리성운 file 이건호 2004.07.30 10311
83 천체사진가협회 이건호님의 월출 file 이건호 2004.07.30 10973
82 천체사진가협회 이건호의 헤일봅 혜성 file 이건호 2004.07.30 10301
81 Etc 이게 멀까요 1 file 별친구 2015.09.17 3915
80 천체사진가협회 이재림님의 토성 file 이건호 2004.07.30 11944
79 천체사진가협회 이재우님의 달확대 file 이건호 2004.07.30 11994
78 천체사진가협회 이재우님의 사자자리 유성우 file 이건호 2004.07.30 11369
77 천체사진가협회 이재우님의 사자자리 유성우2 file 이건호 2004.07.30 11966
76 천체사진가협회 이재우님의 오리온자리 file 이건호 2004.07.30 10648
75 천체사진가협회 이재우님의 토성식 file 이건호 2004.07.30 11241
74 Etc 이중성단 근처 file 별친구 2024.01.10 81
73 Etc 일주 file 이건호 2006.11.07 4535
72 Solarsystem 자크 혜성 (Comet Jacques, C/2014 E2) file 별친구 2014.09.01 6381
Board Pagination ‹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Next ›
/ 35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